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36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36개 세 글자:41개 네 글자:9개 다섯 글자:3개 여섯 글자 이상:11개 모든 글자:101개

  • : (1)중국 후한(後漢) 말의 정치가(170~207). 자는 봉효(奉孝). 순욱(荀彧)의 추천으로 조조(曹操)의 참모가 되었으며, 뛰어난 계책을 내어 조조의 군대가 여포(呂布)를 생포하거나, 유비(劉備)의 군대를 격파하는 데 일조하였다. 풍토병으로 38세의 나이에 요절하였다.
  • : (1)중국 후한(後漢) 때의 사람(?~?). 집이 가난하여 노모(老母)가 굶주리는 것을 보고, 이를 면하게 하기 위하여 자식을 묻고자 땅을 파다가 황금 솥을 얻었다고 한다.
  • : (1)두견과의 새. 두견과 비슷한데 훨씬 커서 몸의 길이는 33cm, 편 날개의 길이는 20~22cm이며, 등 쪽과 멱은 잿빛을 띤 청색, 배 쪽은 흰 바탕에 어두운 적색의 촘촘한 가로줄 무늬가 있다. 때까치, 지빠귀 따위의 둥지에 알을 낳아 까게 한다. 초여름에 남쪽에서 날아오는 여름새로 ‘뻐꾹뻐꾹’ 하고 구슬프게 운다. 산이나 숲속에 사는데 유럽과 아시아 전 지역에 걸쳐 아열대에서 북극까지 번식하고 겨울에는 아프리카 남부와 동남아시아로 남하하여 겨울을 보낸다.
  • : (1)중국 전한(前漢)의 장군(?~B.C.68). 무제를 섬기다가 무제가 죽자 실권을 장악하였다. 어린 소제를 보좌하여 대사마 대장군(大司馬大將軍)이 되었으며, 소제가 죽은 뒤 선제를 즉위시켜 20여 년 동안 권력을 누렸다.
  • : (1)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급성 위장병. 찬물을 마시거나 몹시 화가 난 경우, 뱃멀미나 차멀미로 위가 손상되어 일어난다.
  • : (1)어떤 구역의 안.
  • : (1)꼭두각시놀음에 나오는 여러 가지 인형.
  • : (1)음식이 체하여 토하고 설사하는 급성 위장병. 찬물을 마시거나 몹시 화가 난 경우, 뱃멀미나 차멀미로 위가 손상되어 일어난다.
  • : (1)함경남도 단천읍 북쪽 42km 지점에 있는 고개. 종유굴(鍾乳窟)이 있으며, 구슬 같은 돌들이 암벽에 만물상을 이루고 있다.
  • : (1)중국 서진(西晉) 말에서 동진(東晉) 초의 학자ㆍ시인(276~324). 자는 경순(景純). 박학하고 시문과 점술에 뛰어나 원제에게 상서랑(尙書郞)으로 임명되었다. 322년에 중신인 왕돈(王敦)이 반란을 일으켜 관군이 패하자 살해되었다. ≪목천자전≫, ≪초사≫, ≪산해경≫ 따위의 주석이 유명하다.
  • : (1)‘도시락’의 북한어.
  • : (1)삽날의 끝이 모가 지고 운두가 약간 높으며 삽날이 넓적한 삽. 주로 석탄을 풀 때에 쓴다.
  • : (1)중국 서진(西晉)의 사상가(?~312). 자는 자현(子玄). 사도연(司徒掾)과 사공연(司空掾), 태학 박사(太學博士), 황문시랑(黃門侍郞) 등을 역임했다. 위진 남북조 시대 현학(玄學)의 대표적 인물로서 노장의 신비주의 사상을 신봉하였다. 저서로 ≪장자주(莊子注)≫가 있다.
  • : (1)‘뻐꾸기’의 방언
  • : (1)고려 말기의 무신(?~?). 우왕 2년(1376)에 체복사(體覆使)로 있을 때 연호군(煙戶軍)과 별군(別軍)의 폐지를 주장하였으며, 여러 차례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였다.
  • : (1)조선 시대에, 미역을 따는 사람에게서 받던 세금.
  • : (1)방문 같은 데에 달린, 잠금장치를 한 틀에 끼워 맞춘 판.
  • : (1)시체가 안치되어 있는 무덤 속의 방.
  • : (1)미역이 붙어서 자라는 바위.
  • : (1)떡갈나무의 잎으로 만든 약재. 치질, 설사, 갈증을 치료하며 살충제로도 쓰인다.
  • : (1)빨리 흩어짐.
  • : (1)고려 예종 때의 문인(1058~1130). 자는 몽득(夢得). 홍주(洪州) 목사(牧使)를 지냈으며, 예종이 즉위한 후 궁중 순복전(純福殿)에 있으면서 왕의 스승으로 담론하였다.
  • : (1)갑자기 사라져 없어지는 모양. (2)큰 모양.
  • : (1)고려 후기의 문신(1232∼1286). 자는 선갑(先甲), 호는 연담(蓮潭). 원종 때 일본에 왜구의 침범을 중지시킬 것과 잡혀간 고려인의 송환을 요구했고, 충렬왕 때 우부승지, 좌승지, 국자감 대사성, 문한 학사를 거쳤다.
  • : (1)어떤 구역의 밖. (2)중국 전국 시대 연나라의 정치가(?~?). 현인(賢人)을 맞으려면 먼저 가까이 있는 하찮은 사람부터 대우를 잘하라는 ‘선종외시’의 고사로 유명하다.
  • : (1)중국 오대 후주(後周)의 제1대 왕(904~954). 자는 문중(文仲). 오대 후한(後漢)의 은제(隱帝)에게 중용되어 병마(兵馬)의 최고권을 위임받았다. 은제가 죽은 뒤 제위에 오르고 주나라를 건국하였다. 재위 기간은 951~954년이다.
  • : (1)미역의 대가리.
  • : (1)바닷가에서 미역을 따는 곳.
  • : (1)‘갈퀴’의 방언
  • : (1)‘마분지’의 방언
  • : (1)예전에 세력을 떨치던 ‘走’ 자 변의 이름을 가진 곽준(郭䞭)의 여덟 형제의 별명. 곽주(郭走)가 변한 것으로, 보채거나 우는 아이를 을러서 달랠 때에 쓰는 말이다. (2)‘박쥐’의 방언
  • : (1)‘갈퀴’의 북한어. (2)‘괭이’의 방언
  • : (1)‘성냥갑’의 방언
  • : (1)미역을 넣어 끓인 국.
  • : (1)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20~30cm이며, 온몸에 털이 있다. 잎은 달걀 모양이고 톱니가 있다. 7~9월에 입술 모양의 연한 붉은색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핀다. 산에 자라는데 제주, 함북 등지에 분포한다.
  • : (1)중국 북송(北宋)의 화가(?~?). 자는 순부(淳夫). 계절에 따른 경관(景觀)의 변화, 빛과 구름의 상태 따위의 묘사에 뛰어났다. 작품에 <계산추제도권(溪山秋霽圖卷)>, 저서에 화론(畫論) ≪임천고치≫ 따위가 있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곽으로 끝나는 단어 (79개) : 내곽, 거짓 윤곽, 전곽, 성냥곽, 음고 윤곽, 꿀곽, 원통형 흉곽, 려곽, 인지 모형 윤곽, 서곽, 골련곽, 횡구식석곽, 주곽, 륜곽, 산촌수곽, 이곽, 연필곽, 녹곽, 여곽, 찬곽, 목곽, 밥곽, 위곽, 손발톱 성곽, 부곽, 흉곽, 윤곽, 불곽, 천곽, 산곽 ...
곽으로 끝나는 단어는 7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곽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36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